본문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게시물 내용 상세보기
    제목 성남시, 내년 4월 디지털 트윈 공간 분석 시스템 구축
    작성자 조영순
    등록일 2022-04-12
    조회수 304
    주관부서 토지정보과
    작성부서 공보관
    첨부파일

    0412화.hwp 내려받기 바로보기

    토지정보과-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려고 3D로 재구성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여수동 성남시청 인근.jpg 내려받기 바로보기

    토지정보과-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려고 3차원으로 재구성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성남시청.jpg 내려받기 바로보기

    토지정보과-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려고 3차원으로 재구성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정자동 인근지역.jpg 내려받기 바로보기

     성남시, 내년 4월 디지털 트윈 공간 분석 시스템 구축
       25억원 투입…시뮬레이션으로 상황 발생 전 해결 방법 찾아


       성남시는 내년 4월까지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공간 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

    국토교통부가 공모한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사업’에 선정돼 확보한 국비 15억원과 시비 6억원, 민간자본 4억원 등 총사업비 25억원이 투입된다.

    디지털 트윈은 컴퓨터 가상공간에 성남시내 전역을 쌍둥이처럼 똑같이 만들어 놓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 혼잡, 사건 사고, 재난 등의 상황을 모의 실험(시뮬레이션)해 결과를 예측하는 4차산업의 핵심기술이다.

    도시 균형개발, 중대재해 예방, 도로 파임, 균열, 땅 꺼짐, 열섬, 미세먼지, 탄소배출 등 각종 도시문제와 정책 결정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해결 방법을 찾아낼 수 있고, 모든 상황에서 위험 요소와 비용, 노동력, 시간을 줄인다.

    성남시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 분석시스템 구축에는 위맵㈜, 한국항공촬영㈜, ㈜모라이, ㈜위버시스템즈, 네이버랩스㈜가 참여해 플랫폼 기술·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항공사진 촬영과 3차원(3D) 재구성 등을 협력한다.

    시는 해당 시스템에 시민체험 서비스 기능도 탑재할 계획이다.

    자기 집 등의 건물 사진을 찍어 보내면 3D로 구현한 집을 직접 디지털 트윈 형태로 최신화해 보는 방식이다.

    성남시 토지정보과장은 “지형·지물의 변화 상태를 바로 감지해 도시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면서 “상상이 첨단기술을 통해 현실이 되는 행정 모델을 만들어 전국에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토지정보과 드론공간정보팀 729-2442

    디지털 트윈기술을 적용한 여수동 성남시청 인근

    디지털 트윈기술을 적용한 여수동 성남시청 인근1

    디지털 트윈기술을 적용한 정자동 인근지역


    공공누리 제 1유형(출처표시)

    성남시청이 창작한 '성남시, 내년 4월 디지털 트윈 공간 분석 시스템 구축'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성남시, 기후위기대응 간부공무원 역량교육
    이전글 성남시, 전직원 대상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교육 실시 등 2건

    만족도 조사

    담당부서 : 공보관 > 공보팀

    문의 : 031-729-2085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결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오니, 답변을 원하시는 민원글은 성남시에바란다 또는 민원상담코너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