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능력여부·연령 등에 관계없이 국가의 보장을 필요로 하는 급여종류별 최저보장수준 이하의 모든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보장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급여종류별 선정기준 이하인 경우)
(단위 : 원)
가구규모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기준 중위소득 | 2,392,013 | 3,932,658 | 5,025,353 | 6,097,773 | 7,108,192 | 8,064,805 |
생계급여수급자 (기준중위소득 32%) |
765,444 | 1,258,451 | 1,608,113 | 1,951,287 | 2,274,621 | 2,580,738 |
의료급여수급자 (기준중위소득 40%) |
956,805 | 1,573,063 | 2,010,141 | 2,439,109 | 2,843,277 | 3,225,922 |
주거급여수급자 (기준중위소득 48%) |
1,148,166 | 1,887,676 | 2,412,169 | 2,926,931 | 3,411,932 | 3,871,106 |
교육급여수급자 (기준중위소득 50%) |
1,196,007 | 1,966,329 | 2,512,677 | 3,048,887 | 3,554,096 | 4,032,403 |
(단위 : 원)
가구규모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
생계급여수급자 (기준중위소득 32%) |
765,444 | 1,258,451 | 1,608,113 | 1,951,287 | 2,274,621 | 2,580,738 |
구분 | 1차(의원) | 2차(병원) | 3차(지정병원) | 약국 | 비고 | |
---|---|---|---|---|---|---|
1종 | 입원 | 없음 | 없음 | 없음 | - | 근로무능력가구, 희귀난치성, 중증질환등록자,시설수급자 |
외래 | 1,000원 | 1,500원 | 2,000원 | 500원 | ||
2종 | 입원 | 10% | 10% | 10% | - | 기초생활보장제도에 따른 의료급여 수급자중 1종 수급대상이 아닌 가구 |
외래 | 1,000원 | 15% | 15% | 500원 |
구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
성남시 | 281,000 | 314,000 | 375,000 | 433,000 | 448,000 | 531,000 |
구분 | 경보수 | 중보수 | 대보수 |
---|---|---|---|
수선비용 | 590만원 | 1,095만원 | 1,601만원 |
수선주기 | 3년 | 5년 | 7년 |
수선예시 | 도배, 장판 등 | 오·급수, 난방 등 | 지붕, 욕실, 주방 개량 등 |
※ 주택개량 이외의 별도 현금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지급대상 | 급여항목 | 지급금액 | 지급방법 |
---|---|---|---|
초등학생 | 교육활동지원비 | 1명당 487,000원 | 연 1회 |
중학생 | 교육활동지원비 | 1명당 679,000원 | 연 1회 |
고등학생 | 교육활동지원비 | 1명당 768,000원 | 연 1회 |
고등학생 | 교과서 | 해당 학년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된 교과목의 교과서 전체 | 연 1회 |
입학금 및 수업료 | 학교장 고지 금액 전액 | 입학금은 입학 시 1회, 수업료는 분기별 지급 |
구분 | 급여액 | 지급대상 | 비고 |
---|---|---|---|
장제급여 | 800,000원 | 생계, 의료, 주거급여 수급자 사망시 | 성남시 운구비 20만원 지원 |
해산급여 | 700,000원 | 생계, 의료, 주거급여 수급자 출산시 | 출산예정일 4주전부터 신청가능 |
지원내용 | 비고 |
---|---|
주민세, 비과세(개인균등할 비과세) - 지원대상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
시군구 일괄면제 |
TV수신료 면제(월 수신료 면제) - 지원대상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주거, 교육급여 수급자제외) |
한국전력공사(☎123) |
전기요금 할인 - 지원대상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월 16,000원한도, 해당월 전기요금, 7월, 8월 하절기 2만원)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월 10,000원한도, 해당월 전기요금, 7월, 8월 하절기 12천원) |
한국전력공사(☎123) |
에너지바우처(난방비지원) -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 - 지원대상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중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노인, 영유아, 등록장애인, 임산부 , 한부모, 소년소녀가정 등) |
동행정복지센터, 에너지바우처 상담서비스(☎1600-3190) |
도시가스요금감면
- 대상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수급자, 차상위계층, 심한 장애인 - 지원내용 : 동절기(12~3월) 9~36천원, 비동절기(4~11월) 2.4~9.9천원 |
동행정복지센터, 지역도시가스회사 |
문화누리카드 이용료 지원 - 지원대상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 지원내용 : 개인당 연간 13만원 |
동행정복지센터, 문화누리카드 고객지원센터(☎1544-3412) |
주민등록증재발급,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 수수료 면제 - 지원대상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수급자 |
동 행정복지센터 |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검사소 자동자(출장검사장포함) 자동차 정기 및 종합검사 수료 면제 - 지원대상 : 생계, 의료급여수급자(보장시설수급자, 주거, 교육급여수급자제외) |
교통안전공단(☎1577-0990) |
기타 상수도 및 하수도 요금 감면, 종량제폐기물 수수료 감면 등 | 지자체별 조례에 따라 지원 |
구분 | 장애인, 국가유공자 | 생계, 의료급여수급자 | 주거, 교육급여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비고 |
---|---|---|---|---|
시내전화 | 월 통화료 50%감면 | 가입비 및 기본료 면제 시내통화 75도수 면제 |
||
시외전화 | 월 통화료 50%감면(3만원 한도) | 시외통화 75도수 면제 | ||
인터넷전화 | 월 통화료 50%감면 | 가입비 및 기본료 면제 시내·외 통화 150도수 면제 |
||
이동전화 | 기본료 및 통화료 35%감면 | 기본료(26,000원 한도) 면제 및 통화료 50%감면(총 4.1만원 한도) | 기본료 및 통화료 각각 35%감면(총 3만원한도) | 기본료 및 통화료 각각 50%감면(총 2.2천원한도) |
번호안내 | 114 안내요금 면제 | 114 안내요금 면제 | ||
인터넷가입 접속서비스 | 월 이용료 30%감면 | 월 이용료 30%감면 | ||
휴대인터넷 | 월 이용료 30%감면 | 월 이용료 30%감면 |
지원내용 | 비고 |
---|---|
임대주택, 영구임대주택 신청 및 전세자금 대출 | 동행정복지센터 주거복지담당자와 상담 |
무료소송지원(민사, 가사, 형사, 행정소송, 헌법소원사건) | 대한법률구조공단 (국번없이 132) |
신용회복지원제도 | 신용회복위원회 (1600-5500) |
개인파산·회생 소송구조 제도 | 대법원 (www.scourt.go.kr)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 한국장학재단(1599-2000) |
담당부서 : 복지국 > 복지정책과 > 생활보장팀
문의 : 031-729-2892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결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오니, 답변을 원하시는 민원글은 성남시에바란다 또는 민원상담코너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